top of page

언어별 파일 명명 관습 종류와 소개

최종 수정일: 2024년 6월 14일

by Kain, Kaite: 2024-05-31


summary: kebab-case, camel-case, snake-case, pascal-case (total: four styles)



title-fileNameCasing

code를 작성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것이 바로 파일명입니다.


우리는 관습적으로 4가지 정도의 명명 스타일을 따르곤 합니다.



{1. kebab-case, 2. camel-case, 3. snake-case, 4. pascal-case}


1) kebab-case는 케밥식 (한국 산적식),


2) camel-case는 낙타식,


3) snake-case는 뱀식,


4) pascal-case는 파스칼식 (창문식)








Rust1번 케밥식3번 뱀식을,


Java2번 낙타식을,


Python3번 뱀식을 기본으로 클래스만 4번 창문식을 사용합니다.


Go 언어4번 창문식, Javascript & KotlinJava를 따라서 2번 낙타식.


그리고 css의 경우, 1번 케밥식으로 속성 이름을 표기하죠.


























그럼 하나씩 알아볼까요?

























1: 케밥식 표기법 🎀 (kebab-case) (산적식)


━■-■-■-■-■-■-■-■-■-■-■-■-■-■-■-■-■-■-■━


두 번째 단어를 만나면 하이픈 - 기호로 구분하는 표기법.


이렇게 씁니다.


example) vending-machine.rs, press-icon.c, clear-files.py


생각보다 마땅한 사진 예시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kebab

육즙을 위해서 그런 건지 고기 사이를 잘 안 띄우더군요.


케밥식 표기법은 Rust 언어에서 두 번째로 많이 쓰는 명명 관습입니다.


또한 CSS에서 주로 속성 표기할 때 쓰는 표기법이기도 하죠.


제가 가장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주의할 점은 파일 명명 규칙을 함수/변수 명명 규칙에도 함께 적용할 때,


일부 언어의 경우, - 하이픈 기호는 함수/변수 명명 시 사용할 수 없어


다른 표기법을 쓰도록 강제 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 낙타식 표기법 (camel-case)


camel-case

두 번째 단어를 만나면 대문자로 구분하는 표기법.


이렇게 씁니다.


example) vendingMachine.rs, pressIcon.c, clearFiles.py


낙타식 표기법은 Java, JavaScript, Kotlin 언어 등에서 많이 쓰는 명명 관습입니다.


저는 두 번째로 자주 이 방식을 씁니다.



관습적인 방법을 알고 일반적으로 그것을 따르는 이유는


디자인 패턴을 배우기 위해서 그리고 빠르고 수월한 협업을 위해서입니다.











3: 뱀식 표기법 (snake-case) (스네이크식)

snake-case

■_■_■_■_■_■_■_■_■_■_■_■


두 번째 단어를 만나면 밑줄 _ 기호로 구분하는 표기법.


이렇게 씁니다.


example) vending_machine.rs, press_icon.c, clear_files.py


뱀식 표기법은 Python, Rust 언어에서 많이 쓰는 명명 관습입니다.


파이썬에서 클래스 명명 관습으로 주로 쓰는 건 4번의 파스칼 표기법


(PythonCode.py) 입니다.


그러나 보통 함수나 변수, 파일 명명 시에는 뱀식 표기법을 쓰죠.



일부 IDE의 경우,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는데 스네이크식, 뱀식으로 작성하지 않으면


경고 메시지를 반환하기도 합니다.











4: 파스칼식 표기법 (pascal-case) (창문식)


pascal-case

첫 번째 단어부터 대문자로, 두 번째 단어를 만나면 다시 대문자로 구분하는 표기법.


이렇게 씁니다.


example) VendingMachine.rs, PressIcon.c, ClearFiles.py




왜 파스칼식이라고 부를까요?


이유는 파스칼식 표기법을 파스칼(Pascal) 언어에서 많이 써서 그렇습니다.


또 다른 언어로는 Go 언어가 파스칼식 표기법을 많이 씁니다.


upper CamelCase, (기존의 camelCase는 lower camel-case) 라고도 불립니다.


그러나 다른 명칭이 있으면 좋겠죠.



저는 파스칼식 표기법을 창문식 표기법(window-case)으로 표현합니다.


창문은 크고, 쌍이니까요.































which one is your favorite

이제 모든 명명 관습을 알아보았습니다.


당신은 어떤 표기법을 선호하시나요?


저는 러스트 언어를 좋아합니다.


그렇기에 케밥식 표기법을 주로 쓰되 낙타식, 뱀식, 창문식 표기법을 2차적으로 사용하죠.



생각해 보니 뱀식 표기법은 C언어에서 많이 본 것 같기도 하네요.


여러분도 자신만의 방법, 아끼는 방법이 생기셨으면 좋겠습니다.




Comments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4 by Kaite.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